티스토리 뷰

반응형

갈수록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올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새로운  정책은 신생아 특례대출, 부모육아휴직제, 늘봄학교전면도입 등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제도입니다.

「늘봄」이란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라는 의미로 모든 초등학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올해 2학기부터 전국의 모든 초등학교에서 시행되는 늘봄학교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며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이 있을지와 교사들이 반대하는 이유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늘봄학교란?

지금까지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저녁 7시까지 실시하던 돌봄교실을 고학년에게도 적용하고, 돌봄 시간 역시 확대 운영하고 방과후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지원할 예정입니다. 2025년 전면 시행할 예정이었지만 2024년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로 확대 적용한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지자체에서는 예산 편성과 전문인력 지원을 맡고 돌봄 장소도 꼭 학교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운영될 예정입니다.

 

 

목차

     

     

     

     

    늘봄학교는 이제까지의 돌봄교실의 공백을 좀 더 촘촘하게 채우고 학생들의 기초학력 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통합관리해 주는 교육, 돌봄 서비스라고 보면 됩니다.

     

     

     

     

    제공되는 서비스

     

     

    늘봄학교 참여를 희망하는 모든 초등학생에게 정규수업 전후로 돌봄서비스가 이뤄집니다. 늘봄학교는 정규수업 시작 전인 7시 ~ 9시 그리고 정규수업이 끝난 이후인 오후 1시 ~ 8시까지 운영됩니다.

    현재 정규수업 끝나고 이뤄지는 방과후 수업이 창의활동 위주였다면 늘봄학교는 지역단위로 개편하여 다양한 커리큘럼과 양질의 수업을 제공할 방침입니다. 2025년 전면 시행할 예정이었지만 2024년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로 확대 적용한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특히 입학 시즌에 맞춰 놀이와 체험 중심의 초1 에듀케어 프로그램을 운영해 입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적극 지원해 준다고 합니다.

     

     

     

     

     

    기대되는 효과

     

     

     

    갈수록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하교 후 집에 돌아가도 부모가 없는 아이들이 많이 있는 실정입니다.  부모들은 퇴근시간까지 혼자 있는 아이들이 불안하여 학원을 보내게 되는 것도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는 부모들은 환영할 수밖에 없습니다.

     



     

    ‘학원 뺑뺑이’ 멈추게 초등돌봄 밤 8시까지

    2025년부터 희망하는 초등학생은 정규수업 전후로 운영되는 학교 돌봄교실이나 방과후학교를 이용할...

    www.khan.co.kr

     

     

    가장 크게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서 머물며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숙제와 기초학력 지원은 물론 놀이와 특성화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강좌 개설을 지원하고, 문화·예술·체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초등 전일제 늘봄학교는 맞벌이를 하는 부모들의 부담을 국가에서 일부 지원해 준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석식 및 간식도 제공하니 부모들의 걱정과 부담이 줄어들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적성을 어릴 때 파악할 수 있다는 긍정적 반응이 있습니다.

     

     

     

     

     
     

    늘봄학교, 반대하는 이유

     

     

    늘봄학교의 운영시간을 보면 아이들이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무려 13시간을 학교에서 머물게 됩니다.

     

    학교는 집이 아니며 집을 대신해서도 안됩니다. 성인도 일하고 나면 쉼이 필요한데 아이들은 더욱 마음 편하게 쉴 수 있는 시간과 장소가 필요합니다. 아무리 학교 시설을 편하게 만들어 준다고 해도 집과 같을 수는 없습니다. 

    집에서 쉬고 에너지를 충전해야 하는 것은 아이들도 마찬가지인데 너무 오랜 시간 학교에 머무르게 되면서 집은 잠만 자는 장소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집에서 쉼을 누릴 권리가 있습니다. 장소라는 것은 단지 머무는 곳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영위하는 곳입니다.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를 표방한다지만 교사가 부모가 되어줄 수는 없습니다. 아이들은 어릴수록 부모의 세심한 손길이 필요하고 부모는 아이들에게 절대적인 존재입니다.

    교사도 부모입니다. 저녁 8시까지 늘봄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게 되면 그 교사의 자녀는 또 다른 교사가 돌봐야 합니다.

     

     

    교사들이 늘봄학교를 반대하는 것이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제까지 학교에 방과후학교, 돌봄교실이 생기면서 교사의 업무가 과중해진 것도 사실입니다. 교사에게는 교사에게 적합한 업무가 주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교육의 위기 속에 교사에게 과중한 업무가 주어지는 것은 우리 아이들에게도 결코 좋은 일이 아닙니다.

     

    초등 전일제, 늘봄교실 운영에 대한 찬반논쟁이 있습니다. 학교는 보육기관이 아닌 교육기관입니다. 학교에서 저녁시간까지 아이들을 돌보는 것은 교사 고유의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가 아닌 전문기관에 위탁형식 등의 다른 형태의 시스템을 갖추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교 후 아이들을 늦은 시간까지 학교에 머무르게 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너무나 가혹한 처사입니다. 근본적으로 부모가 일과 가정, 양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탄력근무제와 같은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늘봄학교 시행을 한 학기 남기고 학교의 시설을 아이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머무를 공간으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와 전문인력의 충당 문제가 시급합니다. 지금처럼 돌봄교사가 파업하면 교사들이 어쩔수없이 공백을 매우게 되는 일이 없도록 제도 개선도 선행되어야 합니다. 최선의 대안이 늘봄학교일지 이제는 실시하고 자리 잡으면서 해결해 가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